본문 바로가기

개인용 자료 스크랩/작곡 이론 · 테크닉

Blackadder Chord에 대해서

JPOP, 애니송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특이한 코드, Blackadder Chord


Blackadder 코드란 근음에 감5도, 단7도, 장9도 위의 음을 쌓아 만든 화음이다. 또는 증화음(augmented chord, 이하 'aug')의 근음 감5도 아래에 베이스를 둔 온코드(분수코드)로 볼 수도 있다. 특히 일본 서브컬쳐 음악에서 종종 볼 수 있는 화음이며, 이런 특이한 코드의 경향성을 발견한 Ongaku Concept의 Joshua Taipale은 여기에 Blackadder 코드란 쿨한 이름을 붙여준 것이다. 일본에서는 "분수 aug" 코드라 부르기도 한다.




1. Blackadder Chord의 구성


Blackadder 코드는 위에 aug 코드를 두고 아래에 독립적인 베이스를 가지고 있는 하이브리드 코드다.


우선 aug 코드를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서.

aug 코드란 근음에 장3도, 증5도 위의 음을 쌓아 만든 화음이다. 예를 들어 C aug라 하면 그 구성음은 C, E, G#이 된다. 특이한 점은 aug 코드란 한 옥타브를 3등분한 것과 같아서 음 사이 간격이 모두 장3도라는 것이다. C aug를 예로 들면, E aug의 구성음은 E, G#, C이 되고 G# aug는 G#, C, E가 된다. 즉 Caug = Eaug = G#aug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Blackadder 코드란, 어느 aug를 의식하고 있는지에 따라 세 가지 해석이 나오게 된다. 처음 이 코드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을 때, Blackadder Chord는 Bbaug/C와 같이 "aug 코드를 위에 두고, 그 루트의 온음(장2도) 위 음을 베이스로 둔 코드"를 의미했다. 하지만 여기서는 이전 해석보단 Gbaug/C와 같이 "aug 코드를 위에 두고, 그 루트의 트라이톤(증4도 혹은 감5도)을 베이스로 둔 코드"로 해석하겠다. 또한 SoundQuest에서 제시한 표기법인 blk를 사용하도록 하겠다.




2. Blackadder Chord의 쓰임


다시 말하지만, Blackadder(이하 'blk') 코드는 "aug 코드의 근음 감5도 아래에 베이스를 둔 온코드"다. 예를 들어 베이스가 C인 경우를 보면, 구성음은 C, Gb, Bb, D가 된다. 코드 이름은 C9-5omit3, 또는 해석에 따라 C9(#11)omit3,5로 볼 수 있다. 혹은 분수코드로 Gbaug/C, 또는 Gb7(b13)omit3,5/C으로 쓸 수 있겠다. SoundQuest에서 제시한 표기법에 따르면 C blk가 되겠다.


Ongaku Concept의 Joshua Taipale은 이 blk 코드의 중요한 특징으로 두 가지를 설명한다. 하나는 굉장히 심한 불협화음이라는 것, 그리고 다른 하나는 반음 아래로 진행하려는 강한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 예를 들어 F#blk 다음에 나올 코드는 FM7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특징을 사용해 FM7 코드로 들어가기 직전에 F#blk를 넣어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언뜻 보면 이상하게 생긴 코드이지만, 자세히 보면 blk 코드가 반음 아래로 진행하려는 것이 필연적임을 알 수 있게 된다.




3. Blackadder Chord의 원리


결론부터 말하자면 blk 코드는 aug 코드와 하프 디미니시 코드(half diminished chord, 이하 'ø')가 합쳐진 코드라고 이해하면 편하다.


우선 하프 디미니시 코드('ø')부터 설명하자면 ø 코드란 근음, 단3도, 감5도, 단7도로 구성된 코드를 말한다. 예를 들어 C 메이져 스케일에서 B를 근음으로 7화음을 쌓으면 B, D, F, A가 되는데, 이것이 바로 Bø다. 혹은 Bm7-5라 쓰기도 한다. 여담으로, 여기에 7도음을 반음 더 내리면 근음, 단3도, 감5도, 감7도로 구성된 감화음(diminished chord, 이하 'dim')이 된다. aug 코드와 유사하게 dim 코드는 한 옥타브를 4등분한 것과 같아서 음 사이 간격이 모두 단3도이며, 따라서 aug 코드처럼 자리바꾸기가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아무튼, 본론으로 돌아와 Caug, F#blk, 그리고 F#ø를 비교해보자.

 -     C aug:    C     E     G#    C

 -     F# blk:    F#   E     G#    C

 -     F#ø:        F#   E     A       C


우선 C aug는 (C에서) F로 연결되는 패싱코드로 자주 사용되는 코드이다. 예를 들어 C와 F 사이에 C aug를 넣어주면, 우선 C(C, E, G)에서 C aug(C, E, G#)로 넘어갈 때 G가 G#으로 반음 올라가고, C aug(C, E, G#)에서 F(F, A, C)로 넘어갈 때 E와 G#이 각각 F와 A로 반음씩 올라가게 되어 매끄럽게 진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F#ø(F#, A, C, E)은 베이스 F#을 F로 반음 내림으로써 FM7(F, A, C, E)으로 매끄럽게 이어질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C와 F#이 서로 트라이톤 관계라는 점과 세 코드 모두 E와 C를 공유하고 있다는 점도 서로 간의 유사섬을 시사하고 있다.


즉 blk 코드란 aug 코드의 상승경향과 ø 코드의 하강경향이 강하게 결합된 코드라고 볼 수 있으며, F#blk가 F로 이동하려는 경향은 그에 대한 결과다.




4. Blackadder Chord의 예시

(예시에서 blk 코드는 붉은색, 이후 이어지는 반음 아래 코드는 파란색)


▶ #IV blk (Iaug/#IV)


サンボマスター「世界はそれを愛と呼ぶんだぜ」


삼보마스터 "세상은 그것을 사랑이라 부르지" (작곡: 야마구치 타카시) 후렴구:

|  I  |  %  |  Iaug/#IV  |  %  |

|  IVM7  |  #IVm7-5  Iadd9/III  |  IIm7  |  IIm7/V  |


이런 식으로 #IV blk → IVM7의 형태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チト&ユーリ「More One Night」


소녀 종말 여행 ED "More One Night" (작곡: emon(Tes.)・히게드라이버) 후렴구:

|  I  |  Iaug/#IV  |  IVM7  |  VII7  |

|  Iadd9/III  |  VIm7-5/III  |  IIm7  |  IV/V  |


"세상은 그것을 사랑이라 부르지"와 비슷한 방식으로 blk를 쓰고 있다.



CINDERELLA PROJECT「Star!!」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애니메이션 OP "Star!!" (작곡: 타나카 히데카즈) 인트로:

|  I  |  VIIm7  III7  |  VIm7  |  Vm7  Iaug/#IV  |

|  IVM7  V/IV  |  IIIm7  VI  |  IIm7  |  IIm7/V  |


2-5-1(투파이브원)을 적용한 캐논코드 응용에 blk를 끼워넣은 형태다.

후렴구에서는 blk 코드가 있는 자리가 그냥 Iaug로 되어있다.



ブレンド・A「ぼなぺてぃーと♡S」


블렌드·S OP "보나페띠-도♡S" (작곡: y0c1e) 후렴구:

|  I  |  III7  III7/#V  |  VIm7  |  Vm9  Iaug/#IV  |

|  IVM7  |  IIIm7  VIm7  |  IIm7  II7/#IV  |  V9sus4  V9  |



カラーズ☆スラッシュ「カラーズぱわーにおまかせろ!


별 셋 컬러즈 OP "컬러즈 파워에 맡겨라!" (작곡: 사이토 노보하루) 간주:

|  I  |  IIm7/I  |  IM9  |  V7sus4  Iaug/#IV  |

|  IVM7  |  IIIm7  IVm7  |  IIm7  |  IVM7/V  V7sus4  |


"보나페띠-도♡S"와 "컬러즈 파워에 맡겨라!" 모두 "Star!!"와 비슷한 방식으로 blk를 사용하고 있다.

Blackadder 코드 중에서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란 인상이다.



▶ II blk (Vaug/II)


オーイシマサヨシ「オトモダチフィルム」


타다 군은 사랑을 하지 않는다 OP "친구 필름" (작곡: 오오이시 마사요이) B파트:

|  IIIm7  VIm7  |  IIm7  V7sus4  |  IIIm7  VIm7  |  ♭VIM7  |  IIm7/V  Iaug/♯IV |

(여기부터 B 파트)

|  IVM7  ♭VII7  |  IIIm7  #IIdim7  |  IIm7  Vaug/♭II  |  I  IIIm7  |


4536251 진행의 V7 대신에 ♭VII7을, VIm7 대신에 #IIdim7을, 그리고 두 번째 V7에서 Vaug/♭II를 사용했다.



▶ ♭VII blk (IIIaug/♭VII)


雀が原中学卓球部「灼熱スイッチ」


작열의 탁구소녀 OP "작열 스위치" (작곡: 타나카 히데카즈) 인트로와 간주:

|  IIm  |  ♯IVdim  |  Vsus4  |  V  Vaug/♭II  |

(여기부터 간주)

|  I  |  ♯IVm7-5  |  IV  |  ♭VII7  ♭II7  |

|  I  |  ♯IVm7-5  |  IV  |  IIIaug/♭VII  |

(여기부터 A 파트)

|  I  | ...


같은 노래 "작열 스위치" 후렴구:

 IIIaug/♭VII  |  VIm7  |  I7  |  IVm7  |

|  VIIm7-5  |  III7  |  VIm  #Vaug  |  Vm7  Iaug  |


인트로에도 blk 코드가 사용되고 있지만, 이 곡 "작열 스위치"의 가장 큰 특징은 후렴구가 IIIaug/VII로 시작된다는 점이다. 본래 blk 코드는 심한 불협화음이기 때문에 코드진행 사이에 매끄럽게 이어주는 역할 정도로 사용되고 있지만, 이 곡은 과감하게 blk 코드를 후렴구 첫 코드에 사용하면서도 전혀 부자연스럽지 않게 들린다. 여러 모로 작곡가 타나카 히데카즈의 능력이 돋보이는 곡이며, 덕분에 애니송과 관련 없는 음악인들까지 사로잡았다.



LOVELYZ 「Shining★Star」


러블리즈 "Shining★Star" (작곡가: 원택(1 Take)・탁(TAK)) 후렴구:

 IIIaug/♭VII  |  VIm7(11)  |  I7(9)  |  IVM7(9)  |

|  VIIm7-5(♭13)  III7(#9)  |  IVm7(9)  I/V  |  II7(9)  |  Vsus4  III7(#9)  |


"작열 스위치" 이후에 나온 러블리즈의 "Shinging★Star"의 후렴구에서 "작열 스위치" 후렴과 비슷한 코드진행이 사용되고 있다.

혹자는 "Shinging★Star"가 "작열 스위치"의 영향을 받았을 거라고 주장한다.



▶ 기타등등


Blackadder Chord를 처음 명명한 Joshua Taipale는 "그렇게 많지 않고 , 전부 7곡에서 찾았다"고 말했다.

1. Guilty Eyes Fever (러브라이브! 선샤인!!)

2. 래브라도라이트 (OSTER Project)

3. CANDY LOVE (타케타츠 아야나)

4. 리듬과 멜로디를 위한 발라드 (타케타츠 아야나)

5. 원더풀 월드 (타케타츠 아야나)

6. 클로버♧혁명 (삼자삼엽)

7. 안녕, 내일 또 봐 (케이온!)


특히 Guilty Eyes Fever에선 blk 코드가 도미넌트까지 연달아 이어지는 인상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Eaug/F# → Daug/E  Caug/D → C7, Ongaku Concept의 영상 참고)



5. Blackadder Chord란 이름에 대해서


위에서 설명했듯, "Blackadder Chord"란 이름은 음악 이론을 다루는 유튜브 채널 Ongaku Concept를 운영하는 Joshua Taipale이 이름을 붙여 2017년 5월 29일에 투고한 해설 영상으로 공표한 이름이다. 그의 영상에 따르면, 일본 서브컬쳐 음악을 즐겨듣는 Taipale은 러브라이브! 선샤인!! Guilty Kiss의 "Guilty Eyes Fever" (작곡: 혼다유키) 듣던 중 익숙하지 않은 코드(위에서 언급한 그 진행)를 만났다. 구성음을 써보았으나 해석할 수 없어 잠시 방치하고 있었으나, 다른 곡에도 비슷한 코드가 등장하는 것을 보고 트위터에서 "이 코드를 본 기억이 있는가" 하재즈 팬들에게 물어보았으나 답을 얻지 못했다. 그래서 이 코드에 그럴싸한 이름을 붙일 수 없을까 고민하던 중, Ongaku Concept의 디스코드에 참여하고 있었던 Terry가 "Blackadder"란 이름을 제안했고 Taipale은 "쿨해 보이니까" 그것을 채용했다고 설명한다. (어째서 Blackadder란 이름을 제안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한편, 이 코드는 전부터 MONACA 소속 유명한 애니송 작곡가 타나카 히데카즈(田中秀和)가 잘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본래 "분수 aug"란 코드가 알려진 것도 타나카 히데카즈가 계기였으며, 혹자는 "타나카 aug"라고 부르기도 한다. 니코니코 동화에서는 음악 크리에이터 유유우타가 독자적으로 발견하고 '들으면 기분 좋아서 가버릴 것 같다'며 "갈 것 같아 코드(イキスギコード, 이키스기 코드)"라고 부르고 있으며, 그의 리스너들도 그를 따라 그렇게 부르고 있다. 그래서 작열 스위치 등 blk 코드가 쓰인 노래 댓글을 보면 그의 리스너들이 "갈 것 같아"라며 절정에 달하는 흉내를 내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솔직히 말해서 좀 더럽다. 개인적으로 Blackadder 코드란 이름이 정식으로 굳혀져 불리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출처:

The Blackadder Chord || Ongaku Concept


Blackadder Chord ― ニコニコ大百科

Blackadder Chord ー Enpedia

Blackadder Chord ー SoundQuest

More One Night (アニメ「少女終末旅行」ED) ー ChordWiki

ぼなぺてぃーと♡S (アニメ「ブレンド・S」OP) ー ChordWiki

カラーズぱわーにおまかせろ!(TVアニメ「三ツ星カラーズ」OP) ー ChordWiki

SHINING★STAR / LOVELYZ ー rechord